[데스크칼럼] 규제 없는 AI는 사회악
상태바
[데스크칼럼] 규제 없는 AI는 사회악
  • 김영민 기자
  • 승인 2023.04.24 0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민 매일일
김영민 매일일보 산업부장

매일일보 = 김영민 기자  |  인공지능(AI)이 기업 업무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다. 인사, 회계 등 내부 업무는 물론 마케팅, 영업, 연구개발 등 기업 전 영역에서 AI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매장을 관리하는 한 기업은 2~3개월 후 어떤 상품이 잘 팔릴지 예측하고 이에 따른 자재 및 재고 관리를 위해 물품 주문까지 이뤄지는 전 과정을 AI가 수행한다. 만족도는 98% 수준이라고 한다. 사람이 했을 때보다 더 정확한 예측과 판단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인 사례다.

현재 기업들은 AI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업무의 속도와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시스템은 기존 데이터를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그 활용도는 앞으로도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AI 전담부서를 만들어 AI를 업무와 비즈니스에 활용하거나 AI 관련 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부상하면서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기업은 물론 정부도 AI의 업무 활용과 관련된 논의도 본격화하는 분위기다.

문제는 초거대ㆍ생성형 AI의 윤리, 정확성, 편향성, 거짓정보, 정보유출, 사생활 침해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는 것이다. 챗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 신선한 충격과 부작용 우려가 함께 나온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최근 외신 등에 따르면 일본의 농림수산성은 이달 중으로 챗GPT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중앙정부 중 챗GPT 도입을 검토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세계적으로 초거대ㆍ생성형  AI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관련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AI 대중화에 앞서 선제적으로 규제안을 만들어 부작용을 막거나 최소화 하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국내 기업들은 챗GPT에 대해 "적극적으로 도입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입을 모은다. 그 이유는 생성형 AI에 대한 기대보다 우려가 앞서기 때문이다.

일본 내각부도 챗GPT 확산에 대응해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AI전략팀'을 설치하기로 했다. AI전략팀을 통해 AI의 업무 활용은 물론 이에 따른 다양한 과제를 정리해 해결하겠다는 의지다.

중국 정부는 챗GPT 접속을 아예 금지했다. 정치적인 사안에 대해 검열되지 않은 답변을 경계하는 차원으로, 무분별하고 잘못된 정보를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도 챗GPT 사용을 금지하는 기업이 늘고 있고, 미국 정부도 생성형 AI에 대한 규제안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이미 인공지능법 초안을 만들었고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입법 논의에 들어간다.

AI는 인간에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삶과 진화된 미래를 설계해주는 순기능을 가진다. 하지만 규제가 없는 AI는 사회악이나 다름 없다.

따라서 AI가 가져올 심각한 부작용을 막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뤄져야 한다. 우리 정부도 AI의 윤리성ㆍ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적극적인 규제 마련에 나서야 한다. AI를 악용한 범죄나 심각한 부작용이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것처럼 AI의 잠재적 위협을 막기 위한 발빠른 규제가 필요하다.

담당업무 : 산업부장(부국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